[보도자료] 섬산련, 의류의 선순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로의 전환 필요성 논의
페이지 정보

본문
- 폐섬유 리사이클 기술개발 동향 세미나 성황리 개최 -
□ 한국섬유산업연합회(회장 최병오, 이하 섬산련)는 4월 16(화)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“폐섬유 리사이클 기술개발 동향 세미나”를 개최하였다.
ㅇ 동 세미나는 TP그룹(舊태평양물산), 영원무역, 효성티앤씨, SK지오센트릭,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관련 기업, 대학, 연구기관 등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하여 섬유패션 제품의 자원순환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.
□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로 의류폐기물에 대한 규제가 EU를 중심으로 강화됨에 따라 “의류의 선순환”이라는 주제로 ‘국내외 폐섬유 리사이클 핵심기술 개발동향’과 ‘유럽의 폐섬유 리사이클 현황 및 폐의류의 자동 선별·분류 시스템’을 소개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.
ㅇ 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곽영제 교수는 섬유산업을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의류제품에 심미성, 편리성을 위해 부과하던 각종 가공기술을 덜어내고 다시 자연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소재 및 공정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.
□ 벨기에 폐의류 자동·선별 분류 시스템 개발업체인 Valvan사 Dieter Wittouck(디터 위투크) 대표는 최근 유럽의 폐의류 규제 동향 및 의류 분류․선별에 따른 리사이클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AI를 활용한 데모키트를 통해 소재별 혼용률을 판별하는 시스템도 시연을 하였다.
ㅇ 그는 향후 3년 이내에는 EU의 지속가능․순환섬유 전략에 따른 에코디자인 규정(ESPR),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(EPR) 등 환경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폐의류 리사이클에 대한 한국업체들의 준비가 지금부터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.
□ 섬산련 관계자는 “폐의류 관련 규제가 섬유패션업계에 위기로 여겨질 수 있지만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면 또 다른 기회로도 작용할 수 있다”며“지난해 12월 출범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포럼(SCT)의 순환생태계 분과 활동의 일환으로 금번 세미나를 기획하였으며 정부 및 업계와 협력하여 지속가능 순환경제의 구심체 역할로 SCT 포럼을 지속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겠다”고 밝혔다.
첨부파일
-
보도자료섬산련, 의류의 선순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로의 전환 필요성 논의.hwp (14.3M)
22회 다운로드 | DATE : 2024-04-18 09:52:21
- 이전글[기사공유] 기능성 소재도 ‘친환경’ 할 수 있습니다 24.04.22
- 다음글[보도자료] 폐섬유 리사이클 기술개발 동향 세미나 개최 24.03.26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