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CT Forum

Copyright © 2024 한국섬유산업연합회
All Rights Reserved.

포럼활동

SCT포럼의 주요사업 및 분과위원회 활동을 안내합니다.

  • 제도개선 분과

  • (1) 글로벌 지속가능 시장, 기술 및 규제 조사·분석

    - 국내외 시장 동향 및 통계조사(시장보고서 활용)

    - SCT 최신기술 및 생태계 조사(co-funded by EU, Dornbirn, Techtextile, 대만 등)

    - 환경 및 재활용 관련 국내외 규제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(EU, US 등)

    - 자원순환, 폐기물 관리 등 관련 법 개정사항 검토

    (2) ESG 대응 지원

    - 환경, 노동 등 ESG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

    - 중소기업 수출 확대를 위한 ESG 수준 진단 및 컨설팅 지원

    (3) 섬유패션 지속가능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(타분과 연계)

    - 섬유 탄소배출량 측정 및 검증, LCA평가 전문인력 커리큘럼 개발

    - 지속가능 대학-연구소 연계 프로그램 기획

    (4) 표준화/시험인증 마련(타분과 연계)

    - 순환제품 품질/안전 관련 표준화 및 시험분석 기준 마련

    - 섬유패션제품 SCT 관련 검증

  • 순환생태계 분과

  • (1) 폐자원 순환시스템설계

    - 폐섬유 통계 조사 및 수거모델 개발

    - 인더스트리/포스트 컨수머 수거 및 자원화 관리

    (2) 소비자 인식개선

    - 폐섬유 원단의 재활용 사례 발굴 및 홍보

    - 순환경제 전환 업계참여 유도

    (3) 기업 홍보 마케팅 지원

    - 지속가능 기업의 마케팅 지원

    - 지속가능 제품 홍보전시회 개최

    (4) SCT 시범사업

    - 폐의류로 제품화(폐의류→원사→직물→의류) 까지 Closed Loop 구현

    - 한국형 섬유산업 지속가능 순환경제(K-SCT) 스타 프로젝트 기획

  • 탄소중립 분과

  • (1) 탄소배출 검증

    - 공정별 탄소배출량 평가를 위한 표준화 및 검증 체계 구축

    (2) 섬유패션제품 LCA평가 (전주기관리)

    - 친환경 제품 생산 및 탄소배출량 전주기 공정 시범사업

    (3) 공정개선

    - 투입자원 최소화 및 에너지 효율관련 정보 제공

    - 에너지/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데이터 수집

    (4) 국가 온실가스 감축사업

    - 기업의 사업참여 지원 및 모범사례 확산

  • 에코디자인(DPP) 분과

  • (1) 디지털제품여권 도입 기반구축 사업기획

    - 디지털제품여권 도입 로드맵 수립 (DPP 동향조사, 표준안 마련, 대응전략 수립 등)

    - 섬유제품 생산이력 추적 시스템 구축계획 수립

    (2) 디지털 공급망 구축현황 조사 및 업계 전파

    - EU 디지털제품여권, 미국 디지털라벨링 등 추진현황 조사

    - 해외 섬유패션기업 디지털공급망 구축사례, LCA 현황 조사

    - 국내외 디지털공급망 정보교류 및 제공

    (3) 섬유제품 생산이력 추적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

    - 시범사업 기획(추적대상, 사업범위, 참여기업, 수집데이터 등)